CDC 백신 필수 접종 수:
1980년 = 5가지 백신
2013년 = 32가지 백신
2024년 = 60가지 이상
CDC 자폐증 발병 증가율:
1980년 = 100,000명 중 1명
2013년 = 68명 중 1명
2024년 = 36명 중 1명
물론 상관관계가 인과관계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이 말을 할 자격이 있는 사람은 모든것을 의심의 눈초리와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며 ‘과학정신’을 유지하고 있는 몇 안되는 사람들에게나 어울릴법한 말이지, 감히 제약회사 치어리더들이 함부로 입에 담을 말은 아니다.
저 말을 즐겨쓰는 사람치고 과학적인 비판을 하기는 커녕 정직하거나 양심에 거리낌 없이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본 이가 없다.
제약회사와 의대 교육과정에서 세뇌되어 제약 만능주의에 빠진 과학주의자들이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을 의심하는 소비자들을 찍어 누를 때나 쓰는 말이다.
진정한 과학적 사고가 가능한 사람들에게는 굳이 ‘상관관계가 인과관계는 아니다’라는 초등적인 공식을 일러줄 필요까진 없다.
“너보다 훨씬 잘 알고 있으니까.”
백신과 자폐증의 연관성을 언급하면 과학정신이 아니라 과학주의와 확증편향에 빠진 의사들의 반응은 “수 많은 연구들을 통해 이미 확인 되었고 과학은 결정이 났다”고 핏대를 올린다.
하지만 핏대만 올릴뿐 연구 하나를 제대로 들여다 본 적이 없다는 티가 철철 나는 것이..
는 연구 몇 개를 항상 근거로 드는데,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768751/
반대로 연관성이 관찰된 연구도 존재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https://pubmed.ncbi.nlm.nih.gov/21623535/
미국과 한국에서 영유아들이 접종받는 36가지 이상 백신들을 다 모아 놓고 연구한 논문이 없다는 사실은 모른다.
국가권장 영유아 백신을 아이가 전부 다 접종 받았을 때 어떤 이상 반응이 일어나는지를 들여다 본 연구는 단 한 건도 없기 때문에 현재로선 그 누구도, 그 어떠한 판단도 내릴 수 있는 근거가 없는 상황이다.
기껏 해야 한 두 가지 백신을 연구하거나 수 많은 성분중에 수은이나 알루미늄같은 성분 하나만을 연구한 논문이 대부분이며, 대조군이 없는 연구도 수두룩하고 심지어 대조군에 생리식염수가 아닌 알루미늄을 사용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6개월 이상 장기 관찰한 연구도 없다.
https://cafe.naver.com/drjoshuacho/60127
‘대조군 비교’와 ‘장기임상시험’이 없고 영유아 필수예방접종 전체를 함께 시험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과학은 결정났다’라고 주장하는 것은 심각한 정신승리가 아닐 수 없다.
혹은 진정한 반지성주의의 표본이다.
인과관계를 알 수 없는 상관관계 하나만 더 소개 하자면, 미국과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유럽 국가들의 2-3배에 해당한다.
마침, 미국과 대한민국의 자폐증 위험은 최근까지 전 세계 1, 2위를 다투고 있다.
물론 상관관계가 눈에 보이는 것 뿐이다.
이런 데이터를 거론하며 함께 알아보자고 하는 의사들에게 인과관계는 아니라며 일축하는 태도는 입닥치고 꺼지라는 말 밖에 더 되나?
태도에서 티가 나지 않나? 나만 느끼나?
자칫 이 글을 읽고, 내가 자폐증 증가의 원인으로
백신 하나만 지목한다고 시비 거는 능지들이 없기를 바랄 뿐인데..
일단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은 자폐증과 체내 중금속 독성은 상당한 연관성을 나타낸다.
아동 체내 중금속 증가 원인이 글리포세이트와 같은 제초제나 식품을 통해 유입 될 수도 있고, 엄마를 통해 이미 태아 단계에서 중금속에 노출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임신을 준비중이라면 미리 중금속 검사를 해 볼 것을 예방차원에서 추천하는 것이다.
또한 MTHFR 유전자 변이가 있는 경우 중금속 배출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어떻게 보면 ‘자폐는 유전’이라는 말이 성립 가능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유전자 변이를 논하며 엄마를 탓하기 전에 수 없이 늘어난 백신부터 점검해 보는 것이 사람이라면 취해야 할 마땅한 태도다.
자폐증 증가의 원인이 백신이 아니라 아직은 알 수 없는 다양한 원인 중 하나로 체중이 얼마 되지도 않는 아이들 몸 속에 중금속을 직접 주입하는 영유아 백신도 가능성으로 인정하고 함께 연구하는 것이 <음모론자>라고 일축하는 태도 보다는 다음 세대를 위해 훨씬 유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