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6일
15.8 C
Los Angeles
7.5 C
Seoul

음/식/이/곧/약/이/다

기능의학과 환자혁명의 발상지

코로나 백신, 국가 필수예방접종 전환 검토

-

“적극 방역으로 공중보건 강화”

코로나와 독감이 동시에 유행하는 가운데, 정부가 코로나 백신을 국가 필수 예방접종 대상으로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코로나 고위험군을 보호하기 위해 백신 예방접종이 필요하다는 취지다.

2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을 국가 필수 예방접종(NIP)으로 도입할 경우 경제성을 평가하는 연구 용역이 진행 중이다. 현재는 임시 국가 접종으로 지원하는 코로나 백신을 NIP에 포함할 경우 비용 대비 효과 등을 평가하는 연구다. 용역 결과는 5~6월쯤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질병청 관계자는 “코로나 백신 관련 용역 결과가 나오면 다른 백신들과 우선순위를 비교 평가해 도입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며 “적극 방역으로 공중 보건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의료계에서는 효과와 안전성, 경제성을 두루 고려해 NIP 대상 백신을 선정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고위험군에 여전한 위협

지난 2023년 5월 ‘엔데믹(endemic·풍토병화)‘ 선언 후에도 코로나 19는 여전히 호흡기 질환 중 가장 높은 질병 부담을 초래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감염병 표본감시 결과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코로나 19로 인한 입원 환자가 1만 9562명으로 독감으로 인한 입원환자(6205명)의 3배에 달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정부가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코로나 19 백신의 NIP 도입을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하다”며 “독감 예방접종 정책처럼 중장기적으로 중증 기저질환자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접종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대감염학회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권고대상에 65세 이상 고령층 뿐만 아니라 65세 미만의 기저질환자도 포함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이 교수는 “고위험군에서는 백신 종류와 관계 없이 적절한 시기에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효과·안정성·경제성 두루 살펴야”

의료계에서는 효과와 안전성, 경제성을 두루 고려해 NIP 대상 백신을 선정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연구팀은 지난해 12월 대한약학회 국제 학술대회에서 코로나 19 백신 접종률을 독감 백신 접종률만큼 올리면 입원 환자를 최대 8만 명 이상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국내 50세 이상 성인의 mRNA 백신 접종률과 입원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다. 만약 코로나 19 백신 접종률이 독감 백신 접종률 수준인 80%에 도달하면 모더나 백신은 최대 8만 400건, 화이자 백신은 최대 5만 189건의 입원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현재 코로나 백신 시장은 모더나와 화이자가 양분하고 있다. 미국, 캐나다, 영국 등에서는 두 기업의 백신이 균형을 이루며 공급되고 있다. 기존에 화이자 단독 공급 방식이 많던 유럽에서도 모더나 백신 구매를 확대하며 백신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또 한국을 포함해 영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은 해외 백신 도입 뿐 아니라 국내 생산 확대를 추진해 자급률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감염내과 최원석 교수는 “코로나19 백신도 독감처럼 매년 접종하는 방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가필수예방접종 도입의 원칙인 질병부담, 효과·안전성, 비용·경제성, 접종 대상자의 수용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원본기사 바로가기

이 글 공유하기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최근 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