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4일
14.5 C
Los Angeles
12.8 C
Seoul

음/식/이/곧/약/이/다

기능의학과 환자혁명의 발상지

2000만명이 당뇨 직전이거나 환자… 국가는 손놓고, 각자도생

-

당연한 결과입니다.

​이미 20년 전부터 당뇨는 환자 개인이나 국가의 입장에서 가장 돈이 많이 들어가는 질환으로 어떻게 해서든 예방을 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였습니다.

​합병증의 결과도 처참하기 때문에 복지의 관점에서 더더욱 그랬습니다.

​그래서 병원에서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질환 중 하나가 된 거고요.

​하지만 병원의 접근 방식은 실패할 것이 불 보듯 뻔한 방법으로 당뇨를 관리하려고 했습니다.

​병원에서 말하는 예방은 당뇨를 예방하는 것이 아니라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려는 것이었고 ​당뇨를 치유하는 것이 아니라 관리하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그것도 심지어 다른 방법은 안되고 ‘제약회사의 약물로만‘ 혈당을 관리하는 것이 기본 룰이 되었습니다.

​혈당을 낮추는 것에만 집중했지 개인의 건강을 돌보는 의사는 없었습니다.

​코로나 사태랑 비슷합니다.

​감염 확산을 막는 것에만 초점을 맞췄지 개인의 건강이나 면역력에는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았습니다.

​개인의 건강이나 면역력을 중요시 여겼다면 지금과 같은 방역 정책이 나올 수 없습니다.

​감염 확산을 막으려는 노력도 좋지만 오로지 마스크와 백신으로만 해보겠다니 제대로 되는 노릇이 하나도 없을 수밖에요.

​제도권 의료 안에는 방대한 정보와 지식이 존재하지만 한 줌의 지혜가 아쉬운 곳입니다.

이 글 공유하기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최근 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