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산모는 키토시스 상태입니다.
인슐린저항성이 있어도 쉽게 나타나지 않아요.
그러니…
임신성 당뇨병 진단을 받으면 매우 상당히 심각한 상태고, 임신성 당뇨가 아니더라도 인슐린저항성이 심할 수 있습니다.
인슐린 저항성은 산모에게도 문제지만 아이에게 더 치명적입니다.
그 이유는 이렇습니다.
포도당은 탯줄을 통해 태아에게도 전달됩니다.
하지만 인슐린은 탯줄을 통과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태아도 스스로 췌장에서 인슐린을 분비해야 합니다.
태어나기도 전부터 당과 싸워야 합니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139169/
태어난 후 소아 당뇨, 1형 당뇨, 비만아동이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중금속도 마찬가지입니다.
자폐의 원인은 불분명하다고 하지만, 중금속과 상관관계는 꾸준히 관찰됩니다.
https://ehp.niehs.nih.gov/doi/abs/10.1289/isee.2013.O-4-15-02
임신을 계획하고 있다면 미리 중금속 검사를 해보고 중금속 독성이 관찰될 경우 중금속 해독 치료를 한 후 임신할 것을 권합니다.
어차피 인슐린저항성이 심하거나 중금속 독성이 심하다면 임신 자체가 어렵긴 합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있어도 임신이 어렵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인데 다낭성난소증후군의 원인이 인슐린저항성입니다.
임신 전이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순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