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29일
14.3 C
Los Angeles
6 C
Seoul

음/식/이/곧/약/이/다

기능의학과 환자혁명의 발상지

LDL 콜레스테롤이 유난히 잘 달라붙는(틀어 막는) 혈관은 어떤 혈관?

-

 

 

LDL하면 <나쁜 콜레스테롤> 하나의 대명사가 되었습니다.

​반대로 HDL은 <좋은 콜레스테롤> 그냥 간단하게 그렇게들 알고 있습니다.

LDL 가설은 가설로서는 훌륭합니다.
LDL 수치가 높을 수록 동맥경화의 위험이 올라가니 왠지 일리가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우리 몸은 그렇게 간단하지만은 않습니다.

<LDL 수치가 높은 환자들의 동맥경화 발병율이 높더라>는 가설은 하나의 관찰 통계일 뿐입니다.

​’상관관계가 인과관계를 뜻하지 않는다’
라는 말을 금지옥엽처럼 떠받들며 대단히 과학적인척 하는 의사들도 콜레스테롤 가설 만큼은 <상관관계>에 머무는데 아무런 불편함을 못 느낍니다.

​그래서 오늘은 <인과관계>를 파헤쳐 보도록 할께요.

​우선 LDL 콜레스테롤은 <나쁜 콜레스테롤>이 아닙니다.

​두 말하면 잔소리 같아서 부연설명이 필요하신 분들은 영상 참고:

​콜레스테롤 자체가 건강한 세포를 만드는 기초 재료가 되고 남성호르몬, 여성호르몬의 원료인건 잘 알고 계실 거에요.

비타민D도 만듭니다.

​만약 LDL 콜레스테롤이 없다면,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을 포함한 모든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정상적으로 만들 수가 없습니다.

​결국 LDL 콜레스테롤도 <좋은 콜레스테롤> 입니다.

​LDL 콜레스테롤이 감염과 싸웁니다.

​세균에 감염되면 우리 몸에 들어온 박테리아들은 엔도톡신 endotoxin을 분비합니다.

​박테리아가 내뿜는 엔도톡신은 강력한 염증반응을 일으키는데 우리 면역시스템도 이에 반응해 염증물질들을 내뿜게 되면 걷잡을 수 없는 위급한 상황이 닥치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황을 가로막는 것이 LDL 콜레스테롤 입니다.

​쥐 실험에서 LDL 수치가 높은 쥐들이 감염에 대해 8배 높은 방어력을 보였습니다.

​반면, LDL 수치가 낮은 쥐들일수록 염증반응도 크게 나타났고 치사률이 높았습니다.

​쥐 실험은 그렇다 치고, 사람은 어떨까?
사람도 LDL 수치가 높을수록 감염으로부터 방어력이 높다고 하는 증거가 과연 있을까?

​있어요!
사람의 경우 나이가 들수록 LDL 수치가 높은 것이 감염 예방에 유리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습니다.
노인들은 LDL 수치가 높아야오래 사는것도 오래 사는 거지만활력있고 총명하게 삽니다.

​당연하지요.
뇌 세포도 콜레스테롤!
성호르몬도 콜레스테롤!

​그런데 스타틴 약물로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놓으니당연히 총명함도 없고,기운도 없고, 정력도…

​암환자들은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을수록 위험하다는 말도 같은 맥락에서 나온 말입니다.

​암환자든 노인이든 면역력이 떨어지기 마련인데, LDL 콜레스테롤이 취약해진 면역력을 보완해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LDL 콜레스테롤 자체는 원래 악당도 아니고, 좋고 나쁘고도 없이 자기 할 일을 하는것 뿐이에요.

우리 몸을 헤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은 더더욱 아닙니다.

​그럼 뭐가 문제냐?
언제 문제가 되느냐?

​<인슐린저항성>입니다.

​<인슐린저항성>의 반대는 <인슐린민감성> 입니다.

​세포가 인슐린을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인슐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상태.

​원래 우리 몸의 세포들은 인슐린에 민감하게 잘 반응했습니다.

​인슐린이 신호를 보내고 포도당을 운반해 주면 잘 받아들였습니다.

​그런데 지나치게 신호를 자주 보내고 너무 많은 포도당을 밀어 넣다 보니 세포가 죽을 것만 같아서 인슐린을 저항하게 된 것이 인슐린저항성이 생긴 원인입니다.

​<인슐린저항성>이 없는 상태에서는 LDL 콜레스테롤은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별 5개 치세요! 제일 중요!)
인슐린저항성이 없는 사람들의 경우 LDL 콜레스테롤 수치는 심혈관질환 발병율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는다.

​하지만 반대로!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LDL 수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죽상동맥경화 발병률이 높습니다.

​<인과관계>가 존재 합니다.
혈관이 막힐 확률이 높다는 거에요.

​무슨 뜻인가?

​<LDL 콜레스테롤>이 문제가 아니라 <인슐린저항성>이 문제란 뜻입니다.
동맥경화를 포함한 심장마비나 뇌졸중 같이 심각한 심혈관질환의 원인 자체가 <인슐린저항성> 이라는 뜻입니다.

​LDL의 총량에 대해서도 논하고 LDL의 종류에 대해서도 논하지만 LDL이 처한 환경이 더 중요합니다.

​어떤 환경? 어떤 상황에서 LDL이 혈관벽에 더 잘 달라붙을까?
(aka 혈관을 더 잘 틀어 막을까?)

 

혈관벽에 달라붙은 콜레스테롤 플라그

 

혈관벽의 건강 상태에 달려 있습니다.

이렇게 비교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벽에 테니스 공을 던지는데
1. 벽면이 매끄럽고 깨끗한 경우와
2. 벽면이 벨크로 찍찍이로 이루어진
두 가지 경우가 있다고 가정해 보세요.

찍찍이 벨크로

어느쪽에 테니스공이 더 잘 달라붙을까?

​답은 뻔합니다.

혈관 상태도 이와 같습니다.

​건강한 혈관벽은 원래 매끄럽지만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환자의 혈관벽은 염증과 상처가 많아서 LDL 콜레스테롤이 달라붙기 좋습니다.

​LDL 콜레스테롤도 그냥 심심해서 달라붙는게 아니라 상처와 염증을 고쳐야 하니까 달라붙을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Molecular Velcro 라고 해서 굳이 번역하자면 ‘분자 찍찍이’쯤 되는데, 인슐린저항성이 심할 수록 혈관 벽과 LDL 콜레스테롤 두 가지 모두 외부 벽면에 Molecular Velcro로 이루어진 코팅이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와 증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 결과 LDL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 달라붙어 혈관을 틀어막는 중상동맥경화의 위험이 올라가는 것입니다.

​여기서 핵심은 <인슐린저항성이 심할수록> 입니다.

​미국에서는 전체 성인 인구의 88%가 대사증후군을 앓고 있습니다.

대사증후군의 원인은 인슐린저항성이구요.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사람들의 절반 이상은 본인이 인슐린저항성이 있는지도 모르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당장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인슐린저항성>이 뭔지 미리 알고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자가진단을 내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어느날 갑자기 당뇨 진단을 받았다면 절대 <갑자기>가 아닙니다.
적어도 10년 이상 인슐린저항성이 지속되고 있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오늘의 결론>
인슐린저항성과 염증이 없는 상태라면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 하더라도 우리 몸을 헤치는 것이 아니라, 면역반응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순기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인슐린저항성이나 좀 어떻게 해 봅시다.

 

<참고>
https://academic.oup.com/qjmed/article/96/12/927/1533176
https://pubmed.ncbi.nlm.nih.gov/14631060/
https://www.bmj.com/content/368/bmj.m1182/rr-21
https://pubmed.ncbi.nlm.nih.gov/7729918/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22227520333630
https://pubmed.ncbi.nlm.nih.gov/7772105/
https://pubmed.ncbi.nlm.nih.gov/11259144/
https://diabetes.diabetesjournals.org/content/50/9/2126
https://pubmed.ncbi.nlm.nih.gov/18489581/
https://pubmed.ncbi.nlm.nih.gov/10978261/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BF00400234
https://www.liebertpub.com/doi/10.1089/met.2018.0105

이 글 공유하기

닥터조의 건강이야기 최근 글

Ad